과거 성홍열은 어린이들에게 공포의 질병이었습니다. 하지만 항생제의 발견 덕분에 이제는 비교적 쉽게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보고에 따르면 성홍열과 연쇄상구균(strep)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순 감염이 아닌 심각한 침습성(invasive) 연쇄상구균 감염이 급증하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홍열과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주요 정보를 정리하고, 부모와 보호자가 알아야 할 사항을 안내하겠습니다.
성홍열이란?
성홍열은 연쇄상구균 A군(GAS, Group A Streptococcus)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어린이들에게 흔히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
- 발열
- 매우 붉고 아픈 목
- 딸기처럼 붉은 혀(딸기혀)
- 목 앞쪽의 림프절 부종
- 거친 느낌의 붉은 발진 (밝은 피부에서는 뚜렷이 보이며, 어두운 피부에서는 색은 덜 뚜렷할 수 있지만 촉감으로 확인 가능)
성홍열은 전염성이 강한 질환이며, 의료진은 신속한 스트렙 검사 또는 목 배양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양성 반응이 나오면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최근 아목시실린(amoxicillin) 등 일부 항생제의 공급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대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연쇄상구균이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들
연쇄상구균 A군은 성홍열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가벼운 감염
- 편도염
- 연쇄상구균 인두염(급성 목 감염)
- 봉와직염(피부 감염)
- 농가진(고름이 잡히는 피부 감염)
이러한 감염들은 항생제 치료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심각한 합병증
드물게 연쇄상구균 감염이 악화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급성 류마티스열 (심장 판막 염증)
- 사구체신염 (신장 손상)
- 폐렴
- 관절염
따라서 연쇄상구균 감염 후 상태가 악화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침습성 연쇄상구균 감염(iGAS)이란?
연쇄상구균 감염 중에서도 특히 심각한 유형이 있습니다. 이를 침습성 연쇄상구균 감염(iGAS, invasive Group A Streptococcus)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두 가지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괴사성 근막염(일명 "살을 먹는 세균 감염")
- 피부 상처나 외상으로 인해 감염될 수 있으며, 급속도로 진행됩니다.
- 독소 쇼크 증후군(TSS, Toxic Shock Syndrome)
- 세균이 독소를 혈류로 방출하면서 전신 감염을 유발합니다.
침습성 연쇄상구균 감염은 빠르게 악화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합니다.
최근 연쇄상구균 감염 증가 현황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성홍열 및 침습성 연쇄상구균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유럽: 프랑스, 아일랜드,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 등에서 iGAS 감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10세 미만 어린이들에게서 사망 사례가 보고됨
- 캐나다: 퀘벡에서 iGAS 감염이 팬데믹 이전보다 56% 증가
-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2022년부터 iGAS 감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층(65세 이상)과 어린이들 사이에서 증가세가 뚜렷
전문가들은 이러한 증가 원인으로 면역력 저하, 호흡기 감염(독감, RSV) 증가, 팬데믹 이후 의료기관 방문 감소 등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항생제 내성이 증가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기존 치료법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WHO는 보고하고 있습니다.
예방 방법: 부모와 보호자가 할 수 있는 일
연쇄상구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부모와 보호자가 취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접근법이 있습니다.
1. 감염 예방 수칙
연쇄상구균은 기침, 재채기, 타액(음식 공유), 피부 접촉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손 씻기: 식사 전, 얼굴을 만지기 전, 외출 후 반드시 손 씻기
- ✔ 기침/재채기 예절: 팔꿈치나 휴지로 가리기
- ✔ 식기 공유 금지: 같은 컵이나 수저 사용하지 않기
- ✔ 마스크 착용: 감염 위험이 높은 환경에서는 마스크 착용
- ✔ 아플 때는 집에서 휴식
2. 감염 의심 시 즉각 진료
아이에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 고열
- 🔴 갑작스러운 목 통증
- 🔴 붉고 오돌토돌한 발진
- 🔴 두통 및 식욕 감소
만약 아이가 이미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데도 갑자기 증상이 악화되거나 혼란스러워하거나 의식이 흐려진다면 즉시 응급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결론: 과도한 걱정보다는 예방과 신속한 대처가 중요
연쇄상구균 감염, 특히 성홍열과 침습성 감염이 최근 증가하고 있지만 올바른 예방 조치와 신속한 치료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예방이 최선의 방책입니다! 손 씻기, 위생 관리, 면역력 유지에 신경 쓰고, 의심 증상이 보이면 지체 없이 병원을 방문하세요.
'Children's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의 기도 폐색 응급처치 및 예방 (0) | 2025.02.04 |
---|---|
모유 수유 중 복용 가능한 일반 의약품: 안전한 선택 가이드 (1) | 2025.02.04 |
미숙아와 카시트: 꼭 알아야 할 사항 (0) | 2025.02.03 |
우리 아이를 지키는 카시트 안전 가이드 (0) | 2025.02.01 |
유방 수술 후 모유 수유, 가능할까? (1) | 2025.01.31 |
아기들도 연쇄상구균 인후염에 걸릴 수 있을까? (0) | 2025.01.31 |
스티밍(Stimming): 우리 몸과 마음이 보내는 신호 (0) | 2025.01.30 |
자폐증은 가족력에 영향을 받을까? (2)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