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ildren's Health

신생아 사시? 걱정하지 마세요! 부모가 알아야 할 5가지 진실

by 정보아빠 2025. 4. 14.

신생아 사시? 걱정하지 마세요! 부모가 알아야 할 5가지 진실
신생아 사시

 

신생아의 눈을 바라보는 건 부모에게 있어서 가장 감동적인 순간 중 하나입니다. 그 작은 눈 속에 담긴 호기심은 사랑스럽기 그지없죠. 하지만 때때로 아기의 눈이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거나, 심지어 겹쳐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보면 부모는 자연스럽게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이게 정상인가? 혹시 우리 아기 눈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신생아 사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 현상이 왜 생기며 언제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한지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신생아 사시의 원인

눈은 이제 막 세상을 보기 시작했어요

태어나기 전까지 아기들은 어두운 자궁 안에서 자라왔습니다. 시각을 사용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출생 후 처음으로 빛과 물체를 인식하게 되는 거죠. 당연히 눈의 움직임도 익숙하지 않습니다. 시선 고정이나 초점을 맞추는 것도 연습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신생아의 시력은 출생 직후 완전하지 않으며, 눈을 움직이는 근육도 아직 완전히 협응 하지 못합니다. 이런 이유로 눈이 간헐적으로 겹치거나 다른 방향을 향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보통 생후 4개월쯤 되면 아기의 눈 근육은 충분히 발달해 두 눈을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이 시기 이후에는 사시처럼 보이던 현상이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굴 생김새 때문에 생기는 착시: 가성사시

아기의 얼굴형 역시 사시처럼 보이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콧대가 넓거나 눈 안쪽에 있는 피부 주름(내안각 주름)이 두꺼운 경우 눈이 안쪽으로 몰린 듯한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실제로는 눈이 정상이동하고 있는 것이며, 가성사시(pseudostrabismus)라고 부릅니다.

아기가 자라면서 콧대가 높아지고 눈 주변의 피부 주름이 옅어지면 이런 착시는 점점 사라지고, 눈이 정상처럼 보이게 됩니다.

 

 

신생아 사시, 언제 병원을 찾아야 할까?

비록 대부분의 경우 신생아 사시는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지만, 때로는 진짜 사시(의학적 사시) 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소아과나 안과 전문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의 경우에는 반드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 눈이 자주 겹치거나 바깥으로 돌아가는 경우
  • 생후 6개월 이후에도 눈이 계속해서 다른 방향을 보는 경우
  • 눈이 긴 시간 동안 겹쳐 있거나 움직이지 않는 경우

진단과 치료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만약 아기에게 실제 사시가 있다면 조기 치료를 통해 시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가 기억해야 할 것들

신생아의 눈이 일시적으로 겹치거나 돌아가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하지만 부모가 아기의 상태에 대해 의문이나 걱정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의료진과 상의하세요. 전문가는 여러분의 질문에 귀 기울이고, 필요한 조치를 안내해 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특히 신생아 사시는 초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경우, 이후 시력에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신생아 사시? 걱정하지 마세요! 부모가 알아야 할 5가지 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