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는 신호를 포착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다가가야 할까요, 아니면 아이가 스스로 이야기할 때까지 기다려야 할까요?
최근에는 점점 더 많은 아이들이 자신이 성 정체성을 고민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다양한 성 표현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나 보호자로서 어떻게 대화를 이끌어가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자녀를 가장 잘 지원할 수 있을까요?
아이들의 이해력을 존중하세요
혹시 "아직 어리니까 성 정체성을 알 수 없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하지만 아이들은 생각보다 더 일찍 성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은 3살 무렵부터 성에 대한 개념을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도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남자아이들이 축구를 좋아할 때는 아무도 "아직 어려서 모를 거야"라고 말하지 않지만, 이 아이가 손톱을 칠하고 싶어 하면 "그건 아직 모를 나이야"라고 반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아이들이 자신의 성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들이 스스로의 감정과 정체성을 탐색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성 정체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요하는 대신, 아이들이 편안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때로는 아이들이 스스로를 규정하지 않고 유동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고 싶어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부모는 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용어를 익히세요
성 정체성과 관련된 올바른 용어를 알고 사용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자신이 존중받고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 출생 시 지정된 성(Sex assigned at birth): 출생 시 의사가 신체적인 특징을 보고 남자 또는 여자로 지정하는 것입니다.
- 성 정체성(Gender identity): 자신이 내부적으로 느끼는 성별로, 남성, 여성, 논바이너리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성 표현(Gender expression): 의복, 헤어스타일, 행동, 관심사 등을 통해 나타나는 성별 표현입니다.
성 표현과 성 정체성을 혼동하지 마세요
아이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탐색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따라서 성 표현이 반드시 성 정체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딸이 스포츠를 좋아하고, 드레스를 싫어하며, 짧은 머리를 원한다고 해서 반드시 남성으로 정체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그녀의 성 표현일 수 있습니다. 어떤 아이들은 성별 비순응적인 행동을 하다가 결국 출생 시 지정된 성별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도 하고, 어떤 아이들은 성 정체성이 다르게 발전하기도 합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가 섣부른 판단을 내리지 않고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부모는 아이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고, 특정한 행동이 반드시 특정한 성 정체성과 연결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가 다양한 역할을 시도해 볼 수 있도록 장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는 자신의 정체성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안전하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세요
아이들이 성 정체성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다양한 성 정체성과 성적 지향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모든 성 정체성을 정상화하세요: 성적 지향과 성 정체성은 다르지만, 부모가 LGBTQ+ 커뮤니티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은 아이들에게 영향을 줍니다.
- 대중문화를 활용하세요: 영화나 책, TV 프로그램 등을 보며 다양한 성 정체성을 자연스럽게 접할 기회를 제공하세요.
- 성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세요: "얘들아" 같은 단어를 사용하고, "남자는 울지 않는다" 같은 표현을 피하세요.
다양한 선택지를 제시하세요
아이들에게 특정한 성 역할을 강요하지 않고, 다양한 선택지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을 살 때 "트럭 코너에 갈래, 인형 코너에 갈래? 아니면 둘 다 볼까?"라고 물어보거나, 핼러윈 의상을 고를 때 "어떤 히어로가 되고 싶니?"라고 질문하는 방식으로 선택권을 넓혀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다양한 선택지를 경험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부모가 성별과 관련 없이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지원하면 아이들은 더욱 편안하게 자신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꾸준히 대화를 이어가세요
아이들에게 한 번만 "넌 어떤 선택을 해도 괜찮아"라고 말하는 것보다, 꾸준히 지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가 성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감정과 생각이 변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아이가 원하는 방식으로 정체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과 지지입니다
무엇보다도, 자녀에게 "네가 어떤 선택을 하든 난 널 사랑해"라는 메시지를 계속해서 전달하세요.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지지가 있는 트랜스젠더 청소년은 정신 건강 문제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성 정체성뿐만 아니라 모든 삶의 측면에서 부모의 사랑과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세요.
'Children's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가 벌레에 물렸을 때 가정에서 대처하는 방법 (1) | 2025.02.06 |
---|---|
어린이 가슴 통증: 원인과 걱정해야 할 순간은? (0) | 2025.02.06 |
아이의 질 건강, 거품 목욕이 문제일 수 있다! (1) | 2025.02.05 |
어린이의 기도 폐색 응급처치 및 예방 (0) | 2025.02.04 |
모유 수유 중 복용 가능한 일반 의약품: 안전한 선택 가이드 (2) | 2025.02.04 |
미숙아와 카시트: 꼭 알아야 할 사항 (0) | 2025.02.03 |
성홍열과 연쇄상구균 감염 증가: 알아야 할 점과 예방 방법 (0) | 2025.02.03 |
우리 아이를 지키는 카시트 안전 가이드 (0) | 2025.02.01 |
![자녀의 성 정체성 고민을 부모가 돕는 방법](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7194582/skin/images/cu_img.webp)